반응형

전체 글 55

쌀의 위기와 관련 주식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의 인구 증가로 인해 향후 쌀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한 추정에 의하면 2050년까지 세계는 현재 쌀 생산량의 1/3 이상 더 수확이 필요할 것이라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이 일이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늘 포스팅은 그 이유와 이를 해결 하기 위한 일을 하고 있는 기업(관련주)에 대해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쌀 생산량의 위기 쌀 생산량은 지난 10년간 매해 1%이하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그전에 비해 매우 적은 증가량입니다. 이런 추세면 향후 글로벌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생산량 감소의 원인은 몇가지가 있는데 먼저 도시화와 산업화로 농부와 농지가 줄었습니다. 또한 살충제와 비료 등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킨 것도 원인 중 하..

인도, 인도네시아 투자 방법

지난 포스팅에서 인도와 인도네시아가 새로운 투자처로 매력이 있다는 이야기를 했으며, The Economist 기사를 참고하여 양국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현재 인도와 인도네시아에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을 공스스로 공부할 겸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인도 투자 방법 현재(23년 4월 2일) 인도 주식 투자는 직접투자와 간접투자 모두 가능합니다. 여기서 직접 투자란 직접 인도 주식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개별 주식을 구매할 수 있는 것이며, 간접 투자는 국내에 상장된 ETF, 또는 미국 시장에 상장된 ETF가 있습니다. 직접 투자는 미래에셋증권 계좌를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다만, 아직 HTS나 MTS 같은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으로 개인이 직접 주식을 구매할 수 없으며, 미래에셋증..

인도 vs 인도네시아 - 어디에 투자할까?

글로벌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기존 선진국 외 증시 중 다른 곳을 찾는다면 인도나 인도네시아도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IMF는 2023년 가장 경제성장이 빠른 두 나라가 위의 국가가 될 것이며, 향후 5년 간 유지될 것이라고 예측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The Economist의 3/3일 기사 "Which will grow faster : India or Indonesia?"를 보고 정리한 내용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혹시 해당 국가에 투자를 하시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위의 The Economist 기사는 양국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습니다. 두 나라의 공통점 1. 먼저 두 나라는 카리스마 있는 지도자들이 이끌고 있습니다. 인도는 Narendra Modi, 인도네시아는 Jok..

내수활성화 대책과 수혜 섹터

지난 3월 27일 기획재정부에서 내수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며 최대 600억 원을 재정을 투입하겠다고 하였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내수 활성화의 내용이 어떤게 있는지 확인해 보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수혜 섹터에 대해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내수활성화의 내용 내수 활성화는 물가 안정을 도모하며 코로나19로 인해 피해를 본 관광/서비스 소상공인들을 중심으로 맞춤형 내수 활성화를 진행하겠다는 것입니다. 기획 재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크게 4가지 테마를 토대로 세부 추진 사항을 제시하였습니다. 아래는 이를 정리한 표입니다. 대부분의 시행 내역이 "관광"을 통해 내수를 활성화시키겠다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테마 세부 추진 내용 내수 Boom up 패키지 (민관합동패키지) - 4월부터 K-Pop 콘서트를 포함한 ..

신성장 4.0 전략과 글로벌 디스플레이 산업

지난 3월 27일 일본 디스플레이 기업 JOLED가 파산 보호 신청서를 냈습니다. 문제는 위의 기업뿐만 아니라 현재 많은 글로벌 디스플레이 업체들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디스플레이 업체의 현재 상황과, 작년에 발표한 우리나라의 신성장 4.0 전략을 통해 우리나라 디스플레이 업계의 어떤 변화가 있을지에 대해 조사한 내용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Global Display 업체의 위기 코로나 바이러스의 절정기를 지난 이후 디스플레이의 주력인 TV, PC, 노트북, 태블릿 등 IT기기의 수요가 줄어들며 글로벌 Top 디스플레이 기업들 또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지난해 LG Display는 약 2조 원의 적자를 기록하였고, 올해도 적자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에 어제 3/28일 모..

2023년 글로벌 럭셔리 산업 트렌드

지난 2022년 한 해는 럭셔리 산업에게 상당히 좋은 한 해였습니다. Citi and Bain는 2022년 하이엔드 상품의 판매가 약 15% 증가하였다고 분석하였습니다. 이것은 코로나 19 제한이 완화되며 사람들이 지난 몇 년 간 소비하지 못한 것에 대해 보복 소비 등의 이유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년도 럭셔리 산업의 트렌드를 예측한 내용에 대한 글을 공유드리고자합니다. 분석 중 하나로 럭셔리 산업은 2023년에도 성장은 할 것으로 보이지만, 2022년과 같은 강한 상승은 어려울 수 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약 3-8% 상승). 그 원인으로 꼽은 것이 미국과 유럽에서의 리세션입니다. 특히 이 때문에 소비에 부담을 느낀 중산층의 럭셔리 브랜드 수요가 줄어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중산층의 럭셔..

세계는 구리(Copper)가 부족하다?

.. but if we look at the decarbonization net zero energy transition trend, copper is the new oil,” - Al Chu 위의 인용문이 의미하는 것과 같이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이 일어나면 구리의 사용량이 엄청나게 증가할 것입니다. 태양광, 풍력발전, 전기자동차 등 모든 재생 가능 에너지는 전기화를 해야 하고 또한 전기를 전달할 매체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전기 자동차에는 모터나 배터리에 구리가 많이 쓰이는데, 일반 내연 기관 차량보다 4배 이상 쓰인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리 가격이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해 분석한 글을 읽고 내용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위의 인용문에 쓰인 말을 한 AI Chu의 말을 하나 더 공유 드리..

미국 내 TikTok 금지, 라이벌 기업에겐 기회?

미국 공화당과 민주당은 거의 대부분의 안건에 대해 싸우지만 (우리나라나 미국이나 뭐..) 양 당의 의견이 일치하는 지점이 하나가 있습니다. 바로 중국에 대한 견제입니다. 트럼프 정부 때 이슈가 된 중국 기업 바이트 댄스의 틱톡(TikTok) 규제 기조가 현 바이든 정부 때에도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23일(현지 시간) 청문회가 열렸고, 이 때 틱톡 최고 경영자도 참석하여 직접 청문회 질문에 답변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 내 틱톡 금지 이슈가 비슷한 플랫폼을 갖고 있는 구글(Short), Meta(Reels), Spotlight(Snapchat) 등에게 기회가 될지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2023년 현재 틱톡은 몇 개의 소셜 네트워크 앱(적어도 틱톡보다 2배 이상 오래 ..

이번엔 도이치뱅크발 은행위기?

지난 24일 도이치뱅크 뱅크 주식이 한때 급격히 하락하였습니다. 장 후반에 다시 다소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 전일 대비 약 -8.5% 하락한 채로 마감하였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위와 같은 주가 움직임의 원인에 대해서 (이미 많은 뉴스가 나왔지만)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주가 하락의 원인은 도이치뱅크의 CDS(신용부도스와프) 프리미엄이 급격하게 상승한 것이 원인입니다. CDS는 부도의 위험을 따로 사고 파는 신용 파생 상품의 하나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회사 B가 자금 유치를 위해 채권을 발행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그러면 은행 A는 해당 채권을 매수합니다. 하지만 회사 B의 사정이 어려워지면 채권이 휴지 조각이 될 수 있으니, 이를 헷징 하기 위하여 보험 개념으로 금융회사 C에게 수수료를 주는 것입니다..

수출로 날개를 단 대한민국 방산 업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국-대만 그리고 미국-중국 사이의 갈등 등 현재 세계는 지정학적 위기로 긴장 상태에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글로벌 국가들은 군비 확장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The business research company의 조사에 따르면, 2023년의 세계 방산 시장의 규모가 2022년 $534.79 billion에서 $577.19 billion으로 약 7.9%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하였습니다. 더하여 2027년에는 그 규모가 $718.12 billon 까지 커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글로벌 방산업계가 투자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특히 우리나라 방산업계의 현황에 대해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내용은 한국 신용 평가의 2023.2.15일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