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PI 3

중국 내 외국인 직접 투자 감소 그러나 위안화 가치는 상승?

올해 중국으로의 해외 직접 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 FDI)가 -$11.8bn로 1998년 이후 처음으로 순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중국 경제의 대한 부정적인 전망, 중국 내 과도한 규제, 미중 갈등 등과 같은 지역적인 문제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 간의 금리 차이 또한 중국 내 해외 직접 투자(FDI)가 줄어들게 된 원인 중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현재(23년 11월 기준) 미국은 5.25~5.5%의 높은 기준 금리를 유지하고 있으나 중국은 상대적으로 낮은 3.45%(23년 10월 기준)로 올해 들어 금리 인하까지 단행하였습니다. 이 때문에 다국적 기업들은 그들이 중국에서 얻은 이익을 본국으로 다시 가져가서 빚을 청산하고자 하는..

2023년 이후 세계 경제 위기 위험 요소 6가지

세계 경제는 최근 인플레이션 완화, 낮은 실업률 그리고 강한 경제 성장률(특히 미국)을 보이며 긍정적인 시그널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의 3분기 GDP 성장률은 전기 대비 연율 4.9%를 상승을 하며 시장의 예상치를 뛰어넘는 성장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11월 FOMC에서 다시 한번 금리를 동결하고 이후 연준의장의 발언은 시장에서 금리 추가 인상 종료 시그널로 받아들여 최근 미 증시가 급등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시그널들이 향후에도 지속되지 않을 몇 가지 위험 요소가 존재합니다. 오늘 포스팅은 어떤 위험 요소가 있는지 6가지로 나눠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오늘 포스팅은 The Economist "The world economy is defying gravity. That can..

2023년 7월로 미국 금리 인상 끝?

지난 7월 26일(현지) FOMC를 통해 미국은 0.25%p 금리 인상을 하였고 이제 미국의 기준 금리는 5.5%가 되었습니다. 이제 올해 남은 FOMC는 9, 10, 12월 총 세번이 남아있습니다. 7월 금리 인상은 연준 위원 만장일치로 결정되었습니다만, 남은 FOMC에서의 금리 결정에는 이견이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향후 금리 인상 여부에 대한 여러 의견을 전달해드리고자 합니다. (오늘 포스팅 내용은 The Economist의 "America's battle with inflation is about to get trickier" 기사 내용을 정리하여 공유드립니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이번 7월의 금리 인상이 이번 사이클의 마지막 금리 인상이 될 것이라고 이야기합니다. 그에 대한 근거로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