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자로도 살아보기 50

2023 은행 위기 vs 2008 은행 위기

지난 포스팅에서 IMF가 세계 경제를 다소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글을 포스팅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분위기를 전환하여 현재 은행 위기가 2008년과 같은 큰 붕괴를 초래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견해에 대해 소개를 드리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아래 링크의 Article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전문은 링크 확인 부탁드립니다.) https://facet.com/article/a-tale-of-two-banking-crises-how-2008-is-different-than-2023/ A tale of two banking crises: How 2008 is different than 2023 The economy is much stronger now than in 2008, when the US was..

4월 IMF 세계 경제 전망 발표(GDP 성장률, RISKS, 경기 침체 시나리오)

지난 4/11일(현지) IMF가 각 나라의 2023년 GDP성장률 예측치(우리나라의 경우 1.5% 상승으로 기존 전망치 대비 0.2%p하향)와 경제 전망에 대한 발표를 했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IMF 발표의 주요 내용 공유를 드리고자 합니다. 세계 경제 성장률 예측치 IMF의 이번 발표에서는 2023년 세계 GDP 성장률을 2.8%로 예상하였습니다. 이는 지난 1월 예측치보다 0.1%p 하향한 수치입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경우는 지난해 8.7%에서 올해 7%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며 2024년엔 4.9%까지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만 인플레이션 하락 속도는 예상보다 더디다고 언급하였습니다. 아래 그래프에 나타난 것과 같이 2023년 1월에 예상한 인플레이션 하락 속도보다, 이번 예측 상의 하락 속도가 더..

식품주 - 케어푸드(시니어푸드)의 성장

우리나라는 2050년에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 전체 20% 이상)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에 기업들은 시니어 관련 사업에 관심을 두고 확장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 "시니어 푸드"라고 불리는 식품 관련 사업에 대해서 알아본 내용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시니어 푸드란? 시니어 푸드는 케어푸드라는 큰 범주 안에 속하는 카테고리입니다. 따라서 먼저 케어 푸드의 정의부터 살펴보면, 건강 상의 이유로 맞춤형 식사가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식품을 뜻합니다. 2050년, 우리나라가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케어 푸드 중에서도 노인들을 위한 식품을 의미하는 '시니어 푸드'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시니어 푸드 시장 현황 및 전망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국내 시니어 푸드의 시장 규모는 ..

메타버스의 위기?

2023년 현재까지의 기술 트렌드는 당연히 Generative AI, ChatGPT일 것입니다. 하지만 작년에는 Block chain, NFT, Web3.0, 그리고 메타버스였습니다. 그러나 2023년 현재의 메타버스의 위상은 이전과는 좀 다른 것처럼 보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메타버스의 현재 모습에 대해 조사한 내용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오늘 포스팅은 아래 기사의 내용을 참고하였습니다.) Meta, Microsoft, and Disney are reversing bets on the metaverse (qz.com) Meta, Microsoft, and Disney are reversing their bets on the metaverse Companies that initially rooted fo..

OPEC+의 원유 감산 이유

지난 2일(현지시간) OPEC과 러시아 등 주요 산유국들의 그룹인 OPEC+ 국가들이 원유 생산랑을 하루 3.66 million 배럴 감산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기존 2 million 감산에 이번 발표로 1.66 million 추가 감산). 이 때문에 WTI유는 장중 8퍼센트까지 상승하였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왜 OPEC+가 급작스러운 감산을 발표했는지 알아본 내용에 대해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글로벌 수요의 약화 염려 지난달 글로벌 은행들의 위기로 인해 투자자들이 원재자와 같은 위험 자산을 팔았고 이로 인해 유가는 2022년 거의 사상 최고치인 139달러에서 70달러 근처로 하락했습니다. 주요 산유국은 글로벌 경기 침체를 우려하고 있어 원유 가격이 더욱 떨어질 것으로 보고 감산을 통해 가격을 지지(혹은 상..

쌀의 위기와 관련 주식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의 인구 증가로 인해 향후 쌀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한 추정에 의하면 2050년까지 세계는 현재 쌀 생산량의 1/3 이상 더 수확이 필요할 것이라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이 일이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늘 포스팅은 그 이유와 이를 해결 하기 위한 일을 하고 있는 기업(관련주)에 대해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쌀 생산량의 위기 쌀 생산량은 지난 10년간 매해 1%이하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그전에 비해 매우 적은 증가량입니다. 이런 추세면 향후 글로벌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생산량 감소의 원인은 몇가지가 있는데 먼저 도시화와 산업화로 농부와 농지가 줄었습니다. 또한 살충제와 비료 등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킨 것도 원인 중 하..

인도, 인도네시아 투자 방법

지난 포스팅에서 인도와 인도네시아가 새로운 투자처로 매력이 있다는 이야기를 했으며, The Economist 기사를 참고하여 양국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현재 인도와 인도네시아에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을 공스스로 공부할 겸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인도 투자 방법 현재(23년 4월 2일) 인도 주식 투자는 직접투자와 간접투자 모두 가능합니다. 여기서 직접 투자란 직접 인도 주식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개별 주식을 구매할 수 있는 것이며, 간접 투자는 국내에 상장된 ETF, 또는 미국 시장에 상장된 ETF가 있습니다. 직접 투자는 미래에셋증권 계좌를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다만, 아직 HTS나 MTS 같은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으로 개인이 직접 주식을 구매할 수 없으며, 미래에셋증..

인도 vs 인도네시아 - 어디에 투자할까?

글로벌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기존 선진국 외 증시 중 다른 곳을 찾는다면 인도나 인도네시아도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IMF는 2023년 가장 경제성장이 빠른 두 나라가 위의 국가가 될 것이며, 향후 5년 간 유지될 것이라고 예측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The Economist의 3/3일 기사 "Which will grow faster : India or Indonesia?"를 보고 정리한 내용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혹시 해당 국가에 투자를 하시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위의 The Economist 기사는 양국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습니다. 두 나라의 공통점 1. 먼저 두 나라는 카리스마 있는 지도자들이 이끌고 있습니다. 인도는 Narendra Modi, 인도네시아는 Jok..

내수활성화 대책과 수혜 섹터

지난 3월 27일 기획재정부에서 내수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며 최대 600억 원을 재정을 투입하겠다고 하였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내수 활성화의 내용이 어떤게 있는지 확인해 보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수혜 섹터에 대해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내수활성화의 내용 내수 활성화는 물가 안정을 도모하며 코로나19로 인해 피해를 본 관광/서비스 소상공인들을 중심으로 맞춤형 내수 활성화를 진행하겠다는 것입니다. 기획 재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크게 4가지 테마를 토대로 세부 추진 사항을 제시하였습니다. 아래는 이를 정리한 표입니다. 대부분의 시행 내역이 "관광"을 통해 내수를 활성화시키겠다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테마 세부 추진 내용 내수 Boom up 패키지 (민관합동패키지) - 4월부터 K-Pop 콘서트를 포함한 ..

신성장 4.0 전략과 글로벌 디스플레이 산업

지난 3월 27일 일본 디스플레이 기업 JOLED가 파산 보호 신청서를 냈습니다. 문제는 위의 기업뿐만 아니라 현재 많은 글로벌 디스플레이 업체들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디스플레이 업체의 현재 상황과, 작년에 발표한 우리나라의 신성장 4.0 전략을 통해 우리나라 디스플레이 업계의 어떤 변화가 있을지에 대해 조사한 내용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Global Display 업체의 위기 코로나 바이러스의 절정기를 지난 이후 디스플레이의 주력인 TV, PC, 노트북, 태블릿 등 IT기기의 수요가 줄어들며 글로벌 Top 디스플레이 기업들 또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지난해 LG Display는 약 2조 원의 적자를 기록하였고, 올해도 적자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에 어제 3/28일 모..

반응형